본문 바로가기

SK하이이엔지

SK하이이엔지 mobile Menu

DBL / 기업문화

SK DBL

SK Double Bottom Line
SK는 기존 경제적 가치,이윤만 추구하는 Single Bottom Line에서 벗어나경제적 가치(EV,Economic Value)와 사회적 가치(SV,Social Value)를 동시에 추구하고 관리하는 Double Bottom Line(DBL)을 기업의 경영철학으로 반영하여 이를 통한 기업의 지속가능한 안정과 성장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SK Double Bottom Line

SK Double Bottom Line

  • 수익 - 비용
    경제적 가치(Economic Value)

    기업 경제활동의 최종 결과물로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기업회계 기준에 의해 공시되는 재무성과

  • 사회 창출이익 - 사회 훼손비용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기업 경제활동을 통해 사회 이익을창출하고,사회 훼손 비용을 줄임으로써 창출되는 사회성과

SK Double Bottom Line
사회적 가치는 기업의 경영활동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한 기업 경영활동의 사회성과 총합을 의미합니다. 사회문제란 이 사회에 속한 구성원 다수가 개인의 노력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구조적인 문제로 고통 받는 상태로 정의하였으며,기업 경영활동 과정 중에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는 "비즈니스 사회성과", "사회공헌 사회성과","국민경제 기여 사회성과"로 분류하였습니다.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 비즈니스 사회성과

    기업의 생산과정과 그 결과인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창출되는 사회성과

  • 사회공헌 사회성과

    기업에서 수행하는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창출되는 사회성과

  • 경제간접 기여성과

    임금,세금,배당/이자 등 기업의 경제활동 과정중 구성원/이해관계자들에게 경제자원 이전을 통해 창출되는 사회성과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기업문화

SK 고유의 경영철학 SKMS
SK와 SKMS
SK그룹과 구성원
SK그룹을 구성하는 각 기업은 이사회를 중심으로 자율·책임 경영을 실천해 나가며,상호 협력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공동 협약에 따른 협의회를 운영하고 자율적으로 참여합니다. SK그룹의 모든 구성원은 SK경영철학에 대한 확신과 열정을 가지고 자발적·의욕적으로 이를 실천합니다.
SKMS의 실천과 진화·발전
SKMS는 경영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SK의 경영철학과 이를 현실 경영에 구현하는 방법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SK의 모든 경영자는 SKMS 실천과 진화·발전에 앞장서야 하며,특히 기업가적 대주주는 SK그룹과 경영철학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책임을 다하여야 합니다.
경영철학
이해관계자의 행복
기업
  • 구성원
    • ↔(투자,가치창출)주주
    • ↔(신뢰와지지,가치창출)사회
    • ↔(고객만족,신뢰선택)고객
이해관계자의 행복
기업은 이해관계자 간 행복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고,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도록 현재와 미래의 행복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구성원은 기업의 이해관계자 중 하나임과 동시에 기업을 구성하는 주체입니다. 이해관계자에 대한 행복을 추구함으로써 구성원 전체의 행복이 커지고,이를 통해 구성원 각자의 행복도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믿고 실천합니다.
이해관계자의 행복
이해관계자의 행복
기업은 이해관계자 간 행복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고,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도록 현재와 미래의 행복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구성원은 기업의 이해관계자 중 하나임과 동시에 기업을 구성하는 주체입니다. 이해관계자에 대한 행복을 추구함으로써 구성원 전체의 행복이 커지고,이를 통해 구성원 각자의 행복도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믿고 실천합니다.
VWBE를통한SUPEX추구 변화
VWBE(Volutanrily,Willingly,Brain Engagement)↔SUPEX
VWBE를통한SUPEX추구 변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기업은 이해관계자 행복을 키워나가기 위해여 SUPEX*추구를 통하여 최고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구성원은 자발적(Voluntarily)이고 의욕적(Willingly)인 두뇌활동(Brain Engagement)을 통해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하여 성과 창출에 기여합니다.
*Super Excellent Level의 줄인 말로 인간의 능력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수준
VWBE를통한SUPEX추구 변화
VWBE를통한SUPEX추구 변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기업은 이해관계자 행복을 키워나가기 위해여 SUPEX*추구를 통하여 최고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구성원은 자발적(Voluntarily)이고 의욕적(Willingly)인 두뇌활동(Brain Engagement)을 통해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하여 성과 창출에 기여합니다.
*Super Excellent Level의 줄인 말로 인간의 능력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수준
실행원리
시간에 따른 목표수준 그래프. '통상의 경영', '세계 일류기업', 'SUPEX Company'를 표시. 현재수준은 '통상의 경영'과 '세계 일류 기업' 사이.
시간에 따른 목표수준 그래프. '통상의 경영', '세계 일류기업', 'SUPEX Company'를 표시. 현재수준은 '통상의 경영'과 '세계 일류 기업' 사이.
SUPEX 목표/실행전략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지속적으로 키워나가기 위해 SK는 인간의 능력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수준인 SUPEX, 즉 Super Excellent 수준을 목표로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SUPEX Company를 지향하되 곧바로 도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한 단계 높은 수준의 회사(Better Company)를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달성하면서 SUPEX Company를 구현해 나갑니다.
SUPEX 추구환경 조성
SUPEX 추구를 위해서는 구성원이 자발적이고 의욕적인 두뇌활용을 하여야 합니다. 자발적·의욕적 두뇌활용이 외부로 발현되는 모습이 곧 일과 싸워서 이기는 패기입니다. 따라서, SUPEX 추구 환경을 조성할 때는 구성원이 패기를 갖추도록 하는 것 이 중요합니다.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